전기/이론19 중성점 접지방식의 종류 및 특징 | 직접, 비접지, 저항접지 전력계통에서는 고장전류 제한 및 차단 등을 위해 중성점 접지방식을 사용합니다.전력계통의 규모에 따라 비접지 또는 직접접지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중성점 접지방식의 종류 및 특징 등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직접 접지 : 과도전압 감소, 큰 고장전류2. 비접지 : 적은 고장전류, 과도 과전압 상승3. 저항접지 : 지락보호 용이, 열적 스트레스 발생 1. 중성점 접지방식 종류 중성점 접지방식의 종류에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비접지방식저항 접지방식리액턴스 접지방식직접 접지방식 저전압 소규모 전력계통에서의 중성점 접지방식은 비접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고장전류가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선택 차단하는 보호상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초고압 대규모 전력계통에서는 차단기 및 계전.. 전기/이론 2025. 1. 14. 바이오에너지의 원리 및 종류 | 바이오가스 연료화 프로젝트 친환경에너지의 종류에는 태양열, 풍력, 수력, 바이오에너지 등이 있습니다.바이오에너지는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전기 또는 열에너지 등을 얻는 기술입니다.바이오에너지의 원리 및 종류와 함께 바이오가스 연료화 프로젝트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바이오매스, Biomass : 유기성생물체, 바이오에너지의 핵심2. 열 또는 전기 생산 : 고형 연료화, 열분해, 메탄 생산기술3. 수송용 연료 생산 : 바이오알코올, 바이오디젤, 해양 바이오연료 1. 바이오에너지의 정의 바이오매스(Biomass, 유기성생물체를 총칭)를 직접 또는 생·화학적, 물리적 변환 과정을 통해 액체, 가스, 고체연료나 전기·열에너지 형태로 이용하는 화학, 생물, 연소공학 등의 기술입니다. Biomass란 태양에너지를 받은 식물과 미.. 전기/이론 2024. 12. 30. 석탄가스화 발전의 원리 및 가스화 공정 비교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의 종류의 종류에는 원자력, 화력, 수력, 복합발전 등이 있습니다.이 중에서 석탄가스화 발전은 저급원료(석탄 등)를 가스화기에서 연소시키는 방식입니다.석탄가스화 발전의 원리 및 종류, 여러 가스화 공정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석탄가스화 발전 : 가스화기술 + 가스터빈 복합발전기술2. 가스화 반응 메커니즘 : 가스화, 수성화, 메탄화 반응3. 가스화공정 종류 : Texaco, E-Gas, Shell, Prenflo 1. 석탄가스화 발전 원리 및 종류 #석탄가스화 발전석탄 등의 저급원료를 고온·고압의 가스화기에서 수증기와 함께 한정된 산소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시켜 합성가스(일산화탄소와 수소 주성분)를 만들어 정제공정을 거칩니다.이후 가스터빈(1차 발전) .. 전기/이론 2024. 11. 13. 수소에너지의 정의 및 기술의 종류 | 제조, 저장 및 이용 기술 석탄 및 석유 등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로써 수소에너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수소에너지는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미래기술로 인식되고 있습니다.수소에너지의 정의 및 제조, 저장, 이용 기술 등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수소에너지 : 수소를 분리, 생산해서 이용하는 기술2. 물의 전기분해로 쉽게 제조되나 경제성이 낮은 단점이 있음3. 수소에너지 기술 : 제조, 저장, 이용 기술로 분류 1. 수소에너지 정의 수소에너지(Hydrogen Energy)는 수소를 기체상태에서 연소 시 발생하는 폭발력을 이용하여 기계적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활용합니다.또는 수소를 다시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2. 수소에너지의 원리 및 활용 #원리.. 전기/이론 2024. 11. 12. AC 고장전류에 포함된 DC 성분과 CT 포화 계통고장 발생 시 AC 고장전류에는 DC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이 DC 요소는 CT 포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이러한 특징을 가진 DC 성분이 어떻게 발생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제 조건과 전류 특성 #전제조건DC 성분이 발생되는 이유는 두 가지 전제 조건에서 출발합니다. 인덕턴스 내에서는 급격한 전류변화가 있을 수 없습니다.고장전후의 정상상태 전류는 그 전류가 흐르고 있는 계통의 PF만큼 반드시 뒤지거나 앞선 전류의 형태를 보입니다. #전류 특성인덕턴스(L)에 전류(i)가 흐를 경우 전류변화가 연속적이라는 사실은 알고 계실 겁니다.위와 같은 두 가지 전제를 가지고 아래 그림을 살펴보겠습니다. 저항 성분의 부하에 전류가 흐를 경우 전압과 전류의 위상은 [그림 1]에서 $V$.. 전기/이론 2024. 11. 8. 연료전지의 원리 및 종류 | 전해질에 따라 구분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여러 기술 중에 연료전지가 있습니다.연료전지는 연료와 산화제를 화학반응시켜 에너지를 얻는 기술입니다.연료전지의 원리 및 전해질에 따라 구분되는 종류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연료전지 : 연료(수소)와 산화제(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2. 기본구성 : 연료극, 전해질층, 공기극으로 접합되어 있는 셀(cell)3. 연료전지 종류 : 알칼리, 인산형, 용융탄산염형 등 6종 1. 연료전지의 정의 연료전지는 연료(주로 수소)와 산화제(주로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킵니다.발생되는 반응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2. 연료전지의 원리 및 종류 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소와 산소가 발생합니다.연료전지는 전기분해와 반대로 수소와 산소로.. 전기/이론 2024. 7. 22.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 원인 및 주파수 제어의 목적 전기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압과 함께 주파수를 관리해야 합니다.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의 주파수 유지범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또한, 주파수 변동의 원인 및 주파수 제어의 목적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주파수 유지범위 : 60 ± 0.2Hz2. 주파수 제어 : 발전력을 부하의 변동에 맞추어 제어3. 주파수 제어 목적 : 조속기의 속도조정 용이, 경제적 출력배분 가능 1. 주파수 관리 규정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기본 주파수는 60Hz입니다.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에서 관리하는 주파수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① 표준 계통주파수 : 60 ± 0.2Hz② 최대 용량 발전기 1기 고장 시 최저 59.7Hz 이상 유지, 1분 이내 59.8Hz로 회복③ 발전기.. 전기/이론 2024. 7. 8. 풍력발전 시스템 및 종류별 특성 | 회전축 방향과 운전방식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풍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풍력발전은 회전축 방향과 운전방식에 따라 구분되고 있습니다.풍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종류별 특성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풍력발전 : 바람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술2. 풍력발전 시스템 : 기계, 전기, 제어 장치부로 구성3. 풍력발전 분류 : 회전축 방향과 운전방식에 따라 구분 1. 풍력발전 시스템 신재생에너지의 종류에는 태양광, 풍력, 조력 등이 있습니다.풍력발전은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바람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합니다.풍력발전 시스템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됩니다. 기계 장치부전기 장치부제어 장치부 1-1. 기계 장치부 ① 바람으로부터 회전력을 생산하는 .. 전기/이론 2024. 5. 16. 변압기 효율이 최대가 되는 조건 수식 정리 | 철손과 동손이 동일 변압기(Transformer)는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을 하는 전기장치입니다. 전압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철손 및 동손이라고 불리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변압기의 효율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수식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변압기 효율 최대 조건 : 철손과 동손일 동일 1. 변압기 효율 최대 조건 변압기 정격용량 $P[kVA]$, 부하를 $P_{1} [kW]$라고 정의합니다. 또한 전부하시 동손을 $W_{c}$, 철손을 $W_{i}$라고 합니다. 변압기 효율 $\eta=\frac{P_{1}}{P_{1}+W_{i}+(\frac{P_{1}}{P})^{2} \times W_{c}}\times100$[%] 여기서 $\frac{ P_{1} }{P}=m$이라 하면, $P_{1}=mP$이므로 $\eta.. 전기/이론 2024. 1. 22. 단상과 3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 | 병렬운전 가능 결선 모음 전압을 변환하는 변압기는 단상과 3상 변압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별한 사유로 변압기를 병렬해서 운전하는 경우, 가능한 조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병렬운전이 가능한 결선과 불가능한 결선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병렬운전 : 변압기 2대 이상을 병렬로 연결하여 운전 2. 실용상 병렬가능 조건(1) : 정격용량의 비가 1:3 이내 3. 실용상 병렬가능 조건(2) : %임피던스의 차가 10% 이내 1.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우리 주위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변압기는 전신주에 있습니다. 그리고 직접 눈으로 볼 수 없지만 PAD형태로 시내 곳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변압기는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압을 변환해 줍니다. 변압기는 단독 또는 병렬로 운전합니다.. 전기/이론 2023. 12. 28. 터빈발전기의 여자방식 종류 및 장단점 | 정지 및 회전정류기 방식 우리가 전기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해야 합니다. 화력, 수력, 복합 등 대다수의 발전소에서는 전력생산의 핵심적인 요소로 터빈발전기를 사용합니다. 터빈발전기의 여자방식 종류 및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터빈발전기 : 발전기에 연결된 터빈의 조합 2. 정지 정류기 방식 : 응동속도 빠르며 전압조정 쉬움 3. 회전 정류기 방식 : 브러시와 슬립링이 필요하지 않음 1. 터빈발전기의 여자방식 터빈발전기의 여자방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여자기라는 용어를 알아야 합니다. 여자기는 exciter로 표현되며, 발전기의 계좌회로에 여자전류를 공급하는 직류 발생 장치입니다. 직류여자기 : 대용량 터빈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교류여자기 : 현재 대부분의 터빈발전.. 전기/이론 2023. 12. 28. 전력계통에서의 무효전력 중요성 | 유효전력 전송에 도움, 역률요금제도 유효전력, 피상전력, 무효전력 등은 전력계통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용어들입니다. 특히, 무효전력은 전기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렵지만 꼭 이해해야 하는 개념입니다. 전력계통에서 무효전력의 중요성과 역률요금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역률 : 유효전력/피상전력 2. 무효전력 : 유효전력을 부하까지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력 3. 역률요금제도 : 고객들의 무효전력 생산분담에 따른 요금 1. 전력의 종류와 역률 전력계통에서 전력은 피상전력(Apparent Power), 유효전력, 무효전력으로 구분됩니다. 부하가 실제 일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유효전력이라 부르며, 발전소로부터 공급받습니다. 엘리베이터, 전등, 에어컨 등의 작동은 모두 유효전력이 일을 하는 것입니다. 전력의 종류와 역률.. 전기/이론 2023. 12.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