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전선로용 보호설비에는 리클로저(R/C),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 선로용 퓨즈 등이 있습니다.
ASS(Auto Section Switch)는 인입구의 주개폐기로 고장확대를 방지하는 보호장치입니다.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의 동작시퀀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SS 동작시퀀스
#동작시퀀스
① ASS는 계수기능이 없어 1회 고장으로 개방됩니다.
즉, 후비 보호기기가 될 수 없습니다.
② ASS는 직접 차단할 수 있는 전류의 크기에 한계가 있는데 이때의 전류를 과전류 Lock 전류 또는 Lock 전류라고 합니다.
따라서 ASS는 Lock 전류 이상의 전류에서 개방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Lock 전류 이하의 고장전류에 대해서는 직접 차단할 수 있습니다.
③ Lock 전류 이하의 고장전류가 흐르면 ASS는 T-C 곡선에 따라 개방동작을 준비합니다.
이때 ASS보다 먼저 후비 보호기기가 동작하면 ASS는 즉시 축세개방(무전압 상태에서 개방동작 수행)을 합니다.
④ ASS의 T-C 특성은 R/C의 순시특성보다는 느리고 R/C의 지연특성이나 변전소 계전기의 한시특성보다는 빠릅니다.
따라서 후비 보호기기의 최소동작전류와 ASS의 Lock 전류사이의 고장전류가 발생하면 ASS는 T-C 곡선에 의해 고장전류를 직접 차단하게 됩니다.
#ASS와 후비 보호기기간 보호협조
#후비 보호기기에 따른 ASS 동작유형
후비 보호기기 | ASS 동작유형 |
---|---|
R/C(첫 번째 시퀀스, 순시) | 축세 개방 |
R/C(첫 번째 시퀀스, 지연) | 직접 개방 |
변전소 D/L 보호계전기 | 직접 개방 |
2024.09.23 - [전기/실무] - 배전선로 보호설비 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의 동작조건 및 시퀀스
배전선로 보호설비 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의 동작조건 및 시퀀스
배전선로용 보호설비에는 리클로저(R/C), 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 선로용 퓨즈 등이 있습니다.S/E(Sectionalize)는 부하분기점에 설치되어 타보호기기와 협조, 고장구간을 신속하게 개방합니다.자
lifeinfo5.com
'전기 >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5kV 변압기 3차측 보호방식 시스템 구성 및 공진 (2) | 2024.12.25 |
---|---|
변압기 고장 경보 종류 및 동작 조건 | 96P, 96D 및 30F2 (0) | 2024.12.22 |
지중송전케이블의 기본 구조 | 도체부, 절연부 및 보호부 (0) | 2024.12.14 |
7개의 SI 단위계와 한국전력에서 사용하는 전력용어 (2) | 2024.12.05 |
180kV 해남 제주간 HVDC 시스템 개요 | 회선당 150MW (0) | 2024.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