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뉴스24 2023년 한국전력 매출 통계 및 흑자전환 가능성 | 영업손실 4.6조 2023년 기준 한국전력의 매출, 비용, 영업이익 등에 관한 통계가 발표되었습니다. 역대 최대 손실을 기록한 2022년보다는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4.6조 원의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매출액 등 여러 자료 등을 소개하고 향후 흑자전환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매출액 : 88.2조 원, 23.8% 증가 2. 영업이익 : -4.6조 원, 86% 증가 3. 2024년 연간 흑자전환 가능성 높음 1. 한국전력 매출 및 영업이익 한국전력은 2021년(5.8조), 2022년(32.6조)에 이어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 영업손실은 4.6조 원으로 누적적자는 43조 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한 가지 다행스러운 점은 지난해보다 올해 적자규모가 크게 줄었다는 것입니다. #매출 구.. 전기/뉴스 2024. 3. 7. 영세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신청 자격 및 방법 | 최대 20만원 경기침체와 더불어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소상공인 분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어려운 형편에 처해 있는 분들을 위해 전기요금 감면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영세 소상공인들을 위한 전기요금 특별지원 신청 자격 및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지원대상 : 연 매출액 3,000만 원 이하 소기업 및 소상공인 2. 지원금액 : 최대 20만 원 3. 신청기간 : 2024.2.21 ~ 4.20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지난 2월 15일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을 위한 전기요금 지원정책입니다. 정부혜택을 받기 위한 신청대상, 조건 및 제출서류 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신청대상 및 지원금액 #.. 전기/뉴스 2024. 3. 4. 2024년 1월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전년 대비 3.1% 감소 2024년 1월 기준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겨울철 기온 상승으로 수요는 감소하였지만 판매단가 상승으로 판매수입은 증가하였습니다. 전력판매 현황과 산업용, 일반용, 주택용 등의 계약종별 판매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전력판매량 : 49,630GWh, 전년 대비 3.1% 감소 2. 판매수입 : 82,176억 원, 전년 대비 9.1% 증가 3. 주택용(-0.2%), 일반용(-2.5%), 산업용(-3.1%) 모두 감소 1. 국내 전력판매 현황 1월 평균기온은 0.9도로 1973년 이후로 6번째로 높은 기온을 기록했습니다. 평년 기온보다 1.8도 높은 기온은 난방수요의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다만, 2023년 1~3분기 전기요금 인상으로 판매단가 및 판매수입은 증가하였.. 전기/뉴스 2024. 3. 3. 2023년 연간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전년대비 0.4% 감소, 4번째 역성장 2023년 연간 기준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은 전력판매량 기준으로 역대 4번째 역성장한 해로 기록이 되었습니다. 전력판매 현황과 산업용, 일반용, 주택용 등의 계약종별 판매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전력판매량 : 545,966 GWh, 전년대비 0.4% 감소 2. 전력판매량 기준 역대 4번째 전년대비 역성장 3. 주택용(1.7%) 및 일반용(2.9%) 증가, 산업용(-1.9%) 감소 1. 국내 전력판매 현황 한국전력은 1961년 전력 3사를 통합하고 설립이 되었습니다. 여기서 전력 3사는 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입니다. 1961년이래 2023년까지 단 4번을 제외하고 매년 전력판매량은 증가하였습니다. 전력판매량이 역성장한 4번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기/뉴스 2024. 1. 28. 2024년 1분기 주택용 전기요금 동결 | 250kWh는 45,280원 2022년 2분기 이후로 전기요금은 5차례, 총 40.4원/kWh 인상되었습니다. 2023년 가파르게 오른 물가와 더불어 전기요금의 인상은 각 가정에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주택용 전기요금 동결 시행내용과 사용량별 전기요금을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2022년 2분기 이후 전기요금 : 39.6% 인상 2. 2024년 1분기 주택용 : 요금 동결 3. 주택용 저압 250kWh 사용 : 45,280원 1. 1분기 전기요금 2023년 12월 21일 한국전력은 올해 1분기 전기요금 동결을 발표했습니다. 유연탄, LNG 등의 국제 연료가격이 하락했지만 한전의 적자를 감안한 조치입니다. 현재 한국전력의 누적적자 규모는 47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됩니다. 참고로 2023년 11월에 .. 전기/뉴스 2024. 1. 16. 2023년 11월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전년 동월대비 1.0% 증가 2023년 11월 기준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 3분기 이후 3차례 이루어진 요금조정으로 인해 판매수입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전력판매 현황과 산업용, 일반용, 주택용 등의 계약종별 판매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전력판매량 : 42,906 GWh, 전년 동월대비 1.0% 증가 2. 판매수입 : 70,080억 원, 전년 동월대비 18.1% 증가 3. 주택용(1.0%), 일반용(4.0%), 산업용(1.0%) 모두 증가 1. 국내 전력판매 현황 올해 11월은 평년보다 1.7도 낮은 평균 7.9도를 기록하였습니다. 낮은 기온은 난방수요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로 인해 전력판매량이 증가하였습니다. 최근 3년간의 11월 전력판매량은 역대 1위에서 3위를 기록했습.. 전기/뉴스 2024. 1. 8. 2023년 10월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전년 동월대비 1.4% 감소 2023년 10월 기준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 3분기를 포함하여 3차례 이루어진 요금조정으로 인해 판매수입이 증가하였습니다. 전체 전력판매량과 산업용, 일반용, 주택용 등의 계약종별 판매량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전력판매량 : 41,750GWh, 전년 동월대비 1.4% 감소 2. 판매수입 : 60,309억 원, 전년 동월대비 18.8% 증가 3. 주택용(4.1%)과 일반용(2.1%)은 증가, 산업용(3.9%) 감소 1. 국내 전력판매 현황 가을은 봄과 더불어 전력판매량이 적은 계절입니다. 그러나 매해 전기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의 10월 전력판매량은 역대 1위에서 3위를 기록했습니다. 1위 : 2022.10(42,34.. 전기/뉴스 2023. 12. 7. 기원전부터 1950년대까지의 전기 역사 정리 전기는 일상생활, 산업생산 등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요소입니다. 자연의 현상 발견과 인류의 노력에 의해 전기는 발전되어 왔습니다. 기원전부터 1950년대까지의 전기의 역사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1310년 : 중국, 나침반 발견 2. 1826년 : 독일, 옴의 법칙 발표 3. 1881년 : 전류의 단위 결정 4. 1889년 : 영국, 3상 교류 발전기 발명 1. 전기의 역사 인류역사에 있어 전기는 매우 중요한 발견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편리하게 사용하는 전기가 없는 세상, 상상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일상생활의 혁신을 가져온 전기의 역사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원전 B.C. 600년경 : 탈레스(그리스), 마찰전기(정전기) 발견 B.C. 200년경 : 중국.. 전기/뉴스 2023. 11. 16. 2023년 9월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전년 동월대비 6% 증가 무더위가 지속된 2023년 9월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부터 이루어진 요금조정으로 인해 판매수입이 증가하였습니다. 전력판매량 증감률과 산업용, 일반용, 주택용 등의 계약종별 판매량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전력판매량 : 48,056 GWh, 전년 동월대비 6.0% 증가 2. 판매수입 : 71,854억 원, 전년 동월대비 36.1% 증가 3. 주택용 12.5%, 일반용 9.4%, 산업용 2.6% 증가 1. 국내 전력판매 현황 2023년 9월은 기상청이 1973년 전국에 관측망을 설치한 이래 가장 더운 걸로 기록되었습니다. 전국 평균기온은 22.6도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월대비로는 1.6도 상승하였습니다. 예상치 못한 더위는 냉방수요 증가로 이어져, .. 전기/뉴스 2023. 10. 31. 2023년 8월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주택용은 4.6% 증가 폭염일수가 많았던 2023년 8월의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제유가 등을 일부 반영하여 요금조정이 이루어진 결과 판매 수입 및 단가가 증가하였습니다. 산업용, 일반용, 가정용 등 계약종별 전력판매량 현황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전력판매량 : 2022년 8월 대비 0.5% 증가 2. 계약종별 전력판매량 : 산업용 -2.1%, 일반용 2.6%, 주택용 4.6% 1. 전력판매 현황 기상청자료를 보면 올해 8월 평균기온은 26.4℃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1.1℃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지난해와 비교하여 폭염일수는 6.1일이 증가하였습니다. 평균기온 상승과 폭염일수는 냉방수요 증가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8월의 전력판매량은 50,434GWh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전기/뉴스 2023. 10. 23. 전기공급비용 총괄원가와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 | 2022년 원가회수율 64% 전기를 생산하여 각 가정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여러 시설이 필요합니다. 전기설비를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는 비용이 발생하는 데, 이를 총괄원가라고 합니다.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총괄원가를 알아보고,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총괄원가 : 고객에게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비용, 2022년 105조 원 2. 원가회수율 : 총괄원가 대비 판매수입 비율, 2022년 64% 3. 전기요금 : 총괄원가 고려하여 인상, 2023년 4분기 25원/kWh 1. 전기요금 원가 공공요금하면 제일 먼저 떠오는 것은 전기요금입니다. 우리나라 전기료는 OECD 국가들 중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주택용 전기요금 : OECD 평균의 54% 산업용 전기요금 : OECD 평균의 66% 전기.. 전기/뉴스 2023. 10. 16. 아파트 전기요금 주택용 고압 및 저압 비교 | 300kWh 8410원 저렴 대단위 아파트의 전기요금은 주택용 고압 또는 저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보통의 가정에서의 전기 사용량을 바탕으로 계약종별 선택에 따른 요금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요금 계산을 바탕으로 어떠한 계약을 했을 경우에 유리한지 판단해 보고, 신청방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주택용 고압 : 단일계약, 세대 및 공용 부분 고압으로 계산 2. 주택용 저압 : 종합계약, 세대요금 저압으로 계산 3. 300kWh 사용 : 주택용 고압이 8,410원 저렴 1. 주택용 고압과 저압 한전에서 아파트에 공급 중인 전기는 특고압인 22.9kV입니다. 아파트 변전실에서 특고압의 전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220V로 낮춰 공급합니다. 아파트의 전기요금 계산을 위한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호별계약 .. 전기/뉴스 2023. 10. 1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