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가공 및 지중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이동합니다.
송전선로는 전압별로 기준용량이 존재하며, 용량한도 내에서 안정적인 전력 수송이 가능합니다.
가공 송전선로의 전압별 용량 및 산출 기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765kV ACSR480㎟ × 4B : 1,312만 kW
2. 345kV ACSR480㎟ × 4B : 391만 kW
3. 154kV ACSR410㎟ × 2B : 82만 kW
1. 전압별 비교
송전선로 전압별 비교를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2회선
- 역률 90%
- 연속허용전류
#가공 송전선로 전압별 비교
구분 | 765kV(6B) | 345kV(4B) | 154kV(2B) | |
---|---|---|---|---|
송전용량 | 1,312만kW | 391만kW | 82만kW | |
동일송전 전력손실 | 1.2MW/km | 9.0MW/km | 101MW/km | |
용량비교 | 선로수 | 1개 | 4개 | 16개 |
부지면적 | 166평(547.8㎡) | 204평(673.2㎡) | 676평(2230.8㎡) |
2. 용량 산출 기준 및 계산
#송전용량 산출 기준
전압 | 전력선 | 연속허용전류 | 용량 |
---|---|---|---|
765kV | ACSR480㎟ × 4B | 917A | 1,312만kW |
345kV | ACSR480㎟ × 4B | 909A | 391만kW |
154kV | ACSR410㎟ × 2B | 848A | 82만kW |
#용량산출 계산
① 154kV ACSR410㎟ × 2B
P = $\sqrt{3}$ × V × I × cosθ (역률 90%)
= $\sqrt{3}$ × 154kV × 848A × 2B × 2회선 × 0.9 = 814,267kW
≒ 820 MW (82만 kW)
② 345kV ACSR480㎟ × 4B
P = $\sqrt{3}$ × V × I × cosθ (역률 90%)
= $\sqrt{3}$ × 345kV × 909A × 4B × 2회선 × 0.9 = 3,910,779kW
≒ 3,910 MW (391만 kW)
③ 765kV ACSR480㎟ × 6B
P= $\sqrt{3}$ × V × I × cosθ (역률 90%)
= $\sqrt{3}$ × 765kV × 917A × 6B × 2회선 × 0.9 = 13,122,071kW
≒ 13,120 MW (1,312만 kW)
2024.05.21 - [전기/실무] - 가공 및 지중선로 선종별 정격용량 현황 | 154kV 가공은 452MVA
가공 및 지중선로 선종별 정격용량 현황 | 154kV 가공은 452MVA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로를 거쳐 변전소로 이동합니다.송전선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전기는 전압 및 선종에 따라 용량이 정해집니다.한국전력에서 운영 중인 가공 및 지중선로의
lifeinfo5.com
'전기 >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정공급설비 적용대상 및 비용 부담주체 | 불가피한 경우는 한전 부담 (0) | 2024.07.29 |
---|---|
변전설비 접지 목적 및 GIS 외함접지 방법 | 주모선은 다점접지 (0) | 2024.07.26 |
일반공급설비와 전용공급설비의 차이점 | 계약전력 합계 기준 (1) | 2024.07.11 |
애자장치의 4가지 구비요건 및 송전선로용 애자의 종류 (0) | 2024.07.08 |
전력계통에서의 피뢰기 역할 및 누설전류 | 주요 기능은 속류 차단 (0) | 2024.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