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로는 전압 및 주파수가 있습니다.
전압은 일정범위 내에 국한되지만 주파수는 전국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전력계통과 주파수의 관계를 살펴보고, 발전기 및 부하의 주파수 특성도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전력계통 안정운전 조건 : 전력수급 균형 유지
2. 계통 주파수 증가 시 대책 : 발전력 감소 및 부하증가
3. 계통 주파수 감소 시 대책 : 발전력 증가 및 부하차단
1. 전력수급과 주파수의 관계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력수급 균형 유지
발전기 고장 및 부하 탈락 등으로 전력수급 균형이 깨진다면, 계통 주파수는 변동합니다.
주파수 변동으로 인한 현상과 수급균형을 맞추기 위한 대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상 및 대책
원인 | 현상 | 결과 | 대책 |
---|---|---|---|
총 발전량 > 전부하 | 발전기 주파수 증가 부하 주파수 증가 |
전계통 주파수 증가 | 발전력 감소 부하 증가 |
총 발전량 < 전부하 | 발전기 주파수 감소 부하 주파수 감소 |
전계통 주파수 감소 | 발전력 증가 부하 차단 |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주파수 증가 대책 : 발전력 감소 및 부하증가
- 주파수 감소 대책 : 발전력 증가 및 부하차단
#전력수급 긴급제어별 주파수 추이
계통의 주파수는 전력수급 균형의 불일치 정도에 따라 아래와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① 계통이 안정하고 대책이 적정한 경우, 원상회복
② 계통이 안정하고 대책이 불충분한 경우, 새로운 주파수 안정
③ 계통이 불안정하거나 대책이 부적절한 경우, 계통붕괴
2. 주파수 특성
전력계통의 주파수 특성은 3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습니다.
- 계통의 주파수 특성
- 발전기의 주파수 특성
- 부하의 주파수 특성
#1. 계통의 주파수 특성
주파수 변화를 동특성 및 정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발전기의 주파수 특성
① 부하 증가
② 주파수 저하 $\Delta F$ ↓
③ 발전력 증가 $\Delta P_{G}$ ↑
주파수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조속기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입력을 증가시킵니다.
#3. 부하의 주파수 특성
부하의 주파수 특성은 "부하의 자기 제어성"이라고도 합니다.
① 부하 증가
② 주파수 저하 $\Delta F$ ↓, 전압 저하 $\Delta V$ ↓
③ 전동기 회전수(N) 저하
④ 소비전력 감소 $\Delta P_{L}$ ↓, 전동기 $P \propto N^{2 \sim 3}$, 전등 $P \propto V^{2} $
⑤ 주파수 저하 억제
2024.07.08 - [전기/이론] -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 원인 및 주파수 제어의 목적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 원인 및 주파수 제어의 목적
전기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압과 함께 주파수를 관리해야 합니다.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의 주파수 유지범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또한, 주파수 변동의 원인 및 주파수 제어의 목
lifeinfo5.com
'전기 >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전설비의 AC 및 DC 제어전원장치 역할 | 전원종류별 사용설비 (0) | 2024.10.23 |
---|---|
고압아파트 공동설비 별도 분리 못하는 이유 | 계약제도 특성 (3) | 2024.10.15 |
송전선로용 현수애자의 종류 및 섬락 특성 | 크레비스 및 볼소켓형 (0) | 2024.09.29 |
배전선로 보호설비 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의 동작조건 및 시퀀스 (0) | 2024.09.23 |
변전소 차단기 조작방식별 비교 | 솔레노이드, 압축공기, 유압 및 전동스프링 (0) | 2024.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