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2 급전자동화시스템(EMS)의 정의 및 기능 | 전력계통운영 핵심 국내 전력계통은 발전, 송변전 및 배전 등 다양한 설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계통운영은 전력거래소 주관으로 이루어지며, 급전자동화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습니다.EMS의 설비의 개요 및 시스템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EMS : Energy Management System2. 설치장소 : 전력거래소 중앙관제센터(나주), 의왕지사, 제주지사3. 기능 : 전력계통 감시 및 제어, 자동 발전제어, 전력계통 해석 1. EMS 정의 전력계통 고장 시 신속 대응 및 고장 처리는 정전을 최소화하는 업무 중 하나입니다.이에 앞서 계통의 상태를 감시하여 고장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전력계통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제어하고 발전소의 경제적 전력생산을 관리하는 설비.. 전기/실무 2024. 10. 31. 전력수급 비상시 부하조정 대상선로 선정기준 및 방법 2011년 9월 15일 전력수급 비상으로 인한 순환단전으로 많은 불편이 있었습니다.올해와 같은 늦은 더위로 인한 갑작스러운 전력수요 증가가 원인이 되었습니다.전력수급 비상을 대비한 부하조정 선로의 선정기준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부하조정 : 발전력 부족시 변전소에서 부하 조절 또는 차단2. 부하차단 대상선로 : 우선순위(1~3) 별 선정3. 부하조정 시간 : 1일 1회 1시간 원칙 1. 부하조정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면 광역정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대규모 정전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부하조정을 실시하게 됩니다. 부하조정은 전력수요에 대한 발전기의 공급가능 전력이 부족할 경우 긴급히 변전소에서 공급하는 부하를 조절 또는 차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 전기/실무 2024. 10. 30. 변전설비의 AC 및 DC 제어전원장치 역할 | 전원종류별 사용설비 한국전력에서 운영 중인 변전설비를 구동하려면 제어장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제어장치를 동작시키려면 AC(교류, 충전) 및 DC(직류, 전원공급) 전원 등이 있어야 합니다.변전설비에서의 제어전원장치의 역할 및 전원종류별 사용설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제어장치 : 기기조작, 전압 및 전류 등 계측2. AC 사용설비 : GIS, 변압기 OLTC 및 냉각장치 등3. DC 사용설비 : 기기조작 및 제어전원, SCADA 제어 등 변전설비 제어전원장치 제어장치는 변전소 운전에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제어장치의 역할 및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어장치 역할① 기기조작, 전압, 전류, 전력의 계측을 수행합니다.② 고장 시 고장 부분을 회로에서 분리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출합니다. #제어.. 전기/실무 2024. 10. 23. 2024년 4분기 전기요금 동결 | 6분기 연속 고물가와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2024년 4분기 전기요금이 동결되었습니다.일반 국민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지만, 한국전력은 부채 감소에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주택용 전기요금표와 전력사용량에 따른 요금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2024년 4분기 전기요금 : 6분기 연속 동결2. 주택용 저압 300 kWh 사용 : 58,020원3. 주택용 고압 300 kWh 사용 : 49,640원 2024년 4분기 전기요금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 4분기 전기요금을 동결하였습니다.지속되고 있는 고물가와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을 반영한 것입니다. 이러한 결정으로 인해 지난해 5월 인상 이후, 6분기 연속으로 동결되었습니다.전기요금 현실화가 되지 않아 한국전력의 부채상황은 심각.. 전기/뉴스 2024. 10. 19. 고압아파트 공동설비 별도 분리 못하는 이유 | 계약제도 특성 고압으로 전기를 공급받는 아파트는 한전과 단일 및 종합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아파트에서 헬스장, 수영장 등의 주민편의시설을 분리해 달라는 요구가 종종 발생합니다.공동설비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 분리가 불가하다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공동설비 정의 : 전기배선을 여러 세대가 함께 사용하는 설비 또는 시설2. 공동설비 기준 : 입주민들의 주거나 편의를 위한 설비 여부3. 단일 및 종합계약아파트 모두 공동설비 분리 허용되지 않음 1. 고압아파트의 공동설비 #공동설비 정의아파트의 공동설비란 전기배선을 세대별로 분리하지 않고 여러 세대가 함께 사용하는 설비나 시설을 말합니다. #공동설비 종류대표적인 공동설비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엘리베이터관리사무소 및 경비실복도등, 계단등.. 전기/실무 2024. 10. 15. 2024년 8월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전년 대비 3.9% 증가 2024년 8월 기준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역대 최고기온을 기록한 더위로 인해 냉방수요 및 전력판매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전력판매 현황과 산업용, 일반용, 주택용 등의 계약종별 판매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전력판매량 : 52,420 GWh, 전년 대비 3.9% 증가2. 판매수입 : 90,032억 원, 전년 대비 7.5% 증가3. 주택용(10.3%), 일반용(6.1%), 산업용(0.2%) 모두 증가 1. 국내 전력판매 현황 2024년 8월 전력판매는 지난해 동월 대비 3.9% 증가하였습니다.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8월의 더위로 인해 냉방수요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월평균기온(8월) : 27.9 ℃평균 최고기온 : 33 ℃ 누진제 구간을 상향한 여름철 판매단가.. 전기/뉴스 2024. 10. 11. 전력계통과 주파수의 관계 | 발전기 및 부하의 주파수 특성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로는 전압 및 주파수가 있습니다.전압은 일정범위 내에 국한되지만 주파수는 전국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전력계통과 주파수의 관계를 살펴보고, 발전기 및 부하의 주파수 특성도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전력계통 안정운전 조건 : 전력수급 균형 유지2. 계통 주파수 증가 시 대책 : 발전력 감소 및 부하증가3. 계통 주파수 감소 시 대책 : 발전력 증가 및 부하차단 1. 전력수급과 주파수의 관계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수급 균형 유지 발전기 고장 및 부하 탈락 등으로 전력수급 균형이 깨진다면, 계통 주파수는 변동합니다.주파수 변동으로 인한 현상과 수급균형을 맞추기 위한 대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상 및 대책.. 전기/실무 2024. 10. 7. 2024년 7월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전년 대비 0.9% 증가 2024년 7월 기준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산업용 판매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냉방수요 증가로 인해 소폭 증가하였습니다.전력판매 현황과 산업용, 일반용, 주택용 등의 계약종별 판매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전력판매량 : 47,096 GWh, 전년 대비 0.9% 증가2. 판매수입 : 81,227억 원, 전년 대비 5.0% 증가3. 주택용(3.4%) 및 일반용(3.1%) 증가, 산업용(-0.9%) 감소 1. 국내 전력판매 현황 2024년 7월 전력판매는 지난해 동월 대비 0.9% 증가하였습니다.반도체 등 산업용 분야의 판매량이 감소한 반면, 냉방수요는 크게 증가하였습니다.참고로 반도체 -0.1%, 철강 -8.4%, 자동차 분야는 -2.2%를 기록하였습니다. #전.. 전기/뉴스 2024. 10. 4. 송전선로용 현수애자의 종류 및 섬락 특성 | 크레비스 및 볼소켓형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철탑을 통해 변전소로 이동합니다.송전철탑은 가공지선, 애자, 댐퍼, 추락방지장치 등 여러 장치들이 부착되어 있습니다.이 중에서 송전선로용 현수애자의 종류 및 섬락 특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현수애자 : 전압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 연결2. 현수애자 종류 : 크레비스형과 볼소켓형3. 애자 표면 누설저항 크기 : 연면거리에 의해 정해짐 1. 현수애자 현수애자(Suspension Insulator)는 원판형의 절연체 상하에 연결금구를 시멘트로 부착시켜 만든 것으로 전압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 연결하여 사용합니다.전압별 현수애자 개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54kV 송전선로 : 9~11개345kV 송전선로 : 20~22개765kV 송전선로 : 40개 이상 .. 전기/실무 2024. 9. 29. 배전선로 보호설비 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의 동작조건 및 시퀀스 배전선로용 보호설비에는 리클로저(R/C), 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 선로용 퓨즈 등이 있습니다.S/E(Sectionalize)는 부하분기점에 설치되어 타보호기기와 협조, 고장구간을 신속하게 개방합니다.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 섹셔널라이저)의 동작 조건 및 동작시퀀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R/E 동작조건 S/E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후비에 R/C(자동 재폐로 차단기, Recloser)가 있어야 합니다.만약 R/C가 없을 경우에는 변전소의 D/L 보호계전기와 협조를 보게 됩니다.이때 D/L 보호계전기의 재폐로 횟수는 최소 1회 이상이어야 합니다. S/E(섹셔널라이저)의 동작 횟수가 3회로 정정되어 있다면, 처음 두 번의 고장은 계수(Count)만 하고 3번째 고장에서만 1번 개방 .. 전기/실무 2024. 9. 23. 변전소 차단기 조작방식별 비교 | 솔레노이드, 압축공기, 유압 및 전동스프링 변전소에 설치된 설비로는 변압기, 차단기, 단로기, 병렬리액터, 피뢰기 등이 있습니다.여기서 차단기는 부하전류를 개폐하고 고장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변전소에 설치된 차단기의 조작방식별 장점 및 단점 등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Solenoid(솔레노이드) 조작방식 : 차단 - 스프링, 투입 - 솔레노이드2. 압축공기 조작방식 : 차단 - 공기, 투입 - 스프링3. 유압 조작방식 : 차단 - 유압, 투입 - 유압4. 전동스프링 조작방식 : 차단 - 스프링, 투입 - 스프링 1. 솔레노이드(Solenoid) 조작방식 #조작방식차단 : 스프링투입 : Solenoid #장점① 구조가 간단하다.② 소음이 작다. #단점① 조작전류가 크다.② 큰 조작력이 필요한 경우 사.. 전기/실무 2024. 9. 21. 2024년 상반기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전년 대비 0.5% 감소 2024년 상반기 기준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전력판매량은 2분기 GDP 성장률(-0.2%)의 영향으로 지난해 대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전력판매 현황과 산업용, 일반용, 주택용 등의 계약종별 판매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전력판매량 : 268,483 GWh, 전년 대비 0.5% 감소2. 판매수입 : 425,387억 원, 전년 대비 7.9% 증가3. 주택용(2.1%) 및 일반용(1.5%) 증가, 산업용(-1.8%) 감소 1. 국내 전력판매 현황 2024년 상반기 전력판매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0.5% 감소하였습니다.지난 20년 동안 상반기 기준 역대 4번째 역성장을 기록한 것입니다.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마이너스 성장률(-0.2%)에 따른 결과로 .. 전기/뉴스 2024. 9. 10.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