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실무72 일반공급설비와 전용공급설비의 차이점 | 계약전력 합계 기준 전기를 사용하려는 고객이 신규로 신청하거나 계약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때, 계약전력 합계를 기준으로 공급방식 및 공급전압을 결정합니다.일반공급설비 및 전용공급설비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공급방식 및 공급전압 결정 : 계약전력 합계2. 일반공급설비 : 계약전력 10000kW 이하, 비상시 14000kW 가능3. 전용공급설비 : 10000kW 초과 40000kW 이하 1. 일반공급설비 #정의일반공급설비는 일반 다수 고객에게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합니다.이 설비의 소유권은 한전이 가지고 있습니다.계약전력 10,000kW 이하 고객에게 공급하며, 표준시설부담금을 적용합니다. 일반공급설비는 선로 고장에 대비하여 다른 선로와 연계하여 설계.. 전기/실무 2024. 7. 11. 애자장치의 4가지 구비요건 및 송전선로용 애자의 종류 전력선을 철탑에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애자라 합니다.전기절연을 위해 애자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4가지가 있습니다.애자장치의 구비요건 및 송전선로용 애자의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애자 : 전선을 전기적으로 절연하여 철탑에 연결2. 애자의 조건 : 정상 및 이상전압에 대해 절연내력을 갖출 것3. 송전용 애자 종류 : 자기애자, 유리애자, 폴리머애자 1. 애자장치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이동합니다.송전선로는 애자장치를 이용하여 철탑에 연결되어 있습니다.애자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전선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지지물(철탑)에 연결 전기를 절연시켜 주는 애자의 구비요건은 4가지가 있습니다. ① 선로의 정상전압 및 이상전압(지락고장.. 전기/실무 2024. 7. 8. 전력계통에서의 피뢰기 역할 및 누설전류 | 주요 기능은 속류 차단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수많은 설비 중에 피뢰기가 있습니다.피뢰기는 번개 등의 충격전압에 대해 전기시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피뢰기의 정격전압, 공칭방전전류 및 누설전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피뢰기 : 전기설비 절연 및 속류 차단2. GIS형 피뢰기 절연방식 : 가스형 원칙3. 피뢰기 누설전류 : 상시 가압상태 유지로 시간에 따라 증가 1. 피뢰기 피뢰기는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이상전압에 대해 설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번개 및 회로개폐 시 생기는 충격성 과전압의 파고치가 한도를 초월하는 경우 피뢰기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류를 대지로 분류함으로써 과전압 제한전기시설의 절연을 보호속류를 단시간에 차단 피뢰기의 절연방식 및 정격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GIS 적.. 전기/실무 2024. 7. 8. 배전선로 보호설비 리클로저(R/C)의 동작시퀀스 | 일시 및 순간고장 배전선로용 보호설비에는 리클로저(R/C),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선로용 퓨즈 등이 있습니다.R/C는 단락, 지락 등의 고장이 발생하면 단시간 내에 차단하여 설비를 보호합니다.일시 및 순간고장 발생 시 리클로저의 동작시퀀스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일시고장 시퀀스 정정은 "2F2D"입니다. #동작순서① 고장이 발생되면 R/C는 첫 번째 개방(순시) 동작을 합니다.② 첫 번째 재폐로 시간 경과 후 R/C는 자동으로 투입됩니다.③ 고장이 제거되지 않았으므로 두 번째 개방(순시) 동작을 합니다.④ 두 번째 재폐로 시간 경과 후 다시 자동으로 투입됩니다.⑤ 고장이 제거되지 않았으므로 세 번째 개방(지연) 동작을 합니다.⑥ 세 번째 재폐로 시간 경과 후 다시 자동으로 투입됩니다.⑦ 고장이 제거되지 .. 전기/실무 2024. 7. 3. 전기품질 유지 위한 전압규정 및 계통전압 변화원인, 영향 국내 계통전압은 765, 345, 154kV 등의 송전전압과 22.9kV의 배전전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계통운영을 위해서는 계통의 전압관리가 중요합니다.전기품질 유지를 위한 전압 규정 및 계통전압의 변화 원인, 영향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765kV 계통 : 765kV ± 5%2. 345kV 계통 : 345kV ± 5%3. 154kV 계통 : 154kV ± 10%4. 계통전압 변화 : 무효전력의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 1. 전압관리 규정 전기품질 유지 및 전력계통은 안정적,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전압관리가 중요합니다.표준전압, 표준주파수, 허용오차의 범위 안에서 전압이 유지되어야 합니다.구체적인 기준은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 유지기준"의 제2장.. 전기/실무 2024. 6. 23. 계약전력 1만kW 초과하는 22.9kV 고객 공급 조건 | 전용선로, 최대 4만kW 전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한국전력과 전기계약 공급을 체결해야 합니다.계약전력이 10,000kV 이하이면 22.9kV로 공급받는 것이 원칙입니다.만약, 1만 kW를 초과하여 공급받는 경우의 고객 공급 조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계약전력 1만 kW 초과 : 154kV 공급 원칙2. 22.9kV 공급범위 : 최대 40,000kW3. 계약전력 4만 kW 이하 고객 : 2회선, 회선별 전용 또는 일반선로 1. 22.9kV 공급범위 확대적용 한국전력과 전기계약을 체결하려면 전기공급약관을 준수해야 합니다. 계약전력 10,000kV 초과 : 154kV 전압으로 공급 원칙 22.9kV로 공급받는 고객이 154kV로 수전받는다면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대.. 전기/실무 2024. 6. 17. NGR 보호특성 및 보호계전기의 AC, DC 시퀀스(Sequence) 중성점 접지리액터(NGR)는 변압기 2차 측에서 고장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NGR이 정상 또는 단선상태에서 고장발생 시 보호특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또한, NGR 보호계전기의 AC 및 DC 시퀀스(Sequence)도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NGR 정상, PT전원 상실 : 59GA - 동작, 59GT - 부동작2. NGR 정상, 지락고장 : 59GA - 부동작, 59GT - 부동작3. NGR 단선, 지락고장 : 59GA - 동작/부동작, 59GT - 동작 1. NGR 보호특성 NGR은 중성점 접지리액터라고 부르며, Neutral Grounding Reactor로 표현합니다.NGR이 정상 또는 단선상태에서의 사례별 보호특성을 살펴보겠습니다.우선 계전기 정정 내역입니다. 59GA.. 전기/실무 2024. 6. 14. NGR의 설치목적 및 단선시 현상과 대책 | 지락고장시 고장전류 제한 변전소에는 변압기, GIS, 계전기, 리액터 등 수많은 설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이 중에서 중성점 접지리액터(NGR)는 변압기 2차 측에서 고장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NGR의 설치목적과 단선시 현상, 대책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NGR : 변압기 2차 측 지락고장 시 유입되는 고장전류 제한2. 단선시 현상 : 1선지락 고장 시 건전상의 전압 최대 $\sqrt{3}$배 상승3. 단선시 대책 : 22.9kV 모선전압 감시, 59GA 및 59GT 설치 1. NGR의 설치 목적 NGR은 중성점 접지리액터라고 부르며, Neutral Grounding Reactor로 표현합니다.NGR의 주요 설치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압기 2차 지락고장 시 변압기에 유입되는 고장전.. 전기/실무 2024. 6. 11. 변성기의 정의 및 종류 | 변류기(CT) 및 계기용 변압기(PT) 국내 전력계통은 765kV, 345kV, 154kV 등의 고전압 대전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계측 및 보호를 위해서는 소전류 및 저전압이 필요한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변성기입니다.변성기를 구성하는 변류기(CT) 및 계기용 변압기(PT)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변성기 : CT 및 PT2. CT : 건식, 몰드(mold), 유입형 등3. PT : 단상, 삼상, 보조용 등 1. 변성기 국내 전력계통은 154 및 345kV 등 고전압 대전류 회로가 대부분입니다.계측 또는 보호를 위해서는 소전류, 저전압 상태로 변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변성기라 부르며, CT 및 PT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CT :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대전류를 .. 전기/실무 2024. 5. 26. 가공 및 지중선로 선종별 정격용량 현황 | 154kV 가공은 452MVA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로를 거쳐 변전소로 이동합니다.송전선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전기는 전압 및 선종에 따라 용량이 정해집니다.한국전력에서 운영 중인 가공 및 지중선로의 선종별 정격용량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765kV 가공선로 : ACSR 480㎟ × 6(C), 7290 MVA2. 345kV 가공선로 : ACSR 480㎟ × 4(R), 2173 MVA3. 154kV 가공선로 : ACSR 410㎟ × 2, 452 MVA 1. 가공선로 선종별 정격용량 국내 송전선로는 765, 345, 154kV로 구분하고 있습니다.전압별로 송전가능한 용량이 규정되어 있습니다.선종별 연속허용전류, 정격용량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1. 765kV 송전선로선종연속허용전류(A)용량(M.. 전기/실무 2024. 5. 21. 한국전력의 송전 설비, 가공지선과 전력선 | 345kV 선로는 4도체 한국전력은 전기공급을 위해 송전, 변전, 배전 등 다양한 분야의 설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달하는 첫 번째 설비는 송전 분야입니다.한국전력의 송전 설비 중에서 가공지선과 전력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가공지선 : 정전차폐 및 낙뢰로부터 애자련 등을 보호2. 전력선 : 가공송전선로는 주로 나선을 사용3. 345kV 선로는 4도체, 765kV 선로는 6도체 사용 1. 가공지선 #설치 위치송전철탑 최상부(꼭대기)에 설치 #역할정전차폐 및 낙뢰로부터 애자련, 전력선 등을 보호 #구성가공지선은 철탑을 통과해 지면에 접지2회선 철탑의 2조 가공지선 중 1조는 내부에 광파이버 케이블을 넣은 OPGW나머지 1조는 일반 ACSR을 사용 2. 전력선 #구성가공송.. 전기/실무 2024. 5. 13. 1 전기사용장소 1 공급전압 원칙 및 2개 이상 전압공급시 문제점 전기를 공급함에 있어 1개의 전기사용장소에 1개의 전기사용계약을 해야 합니다.만약, 2개 이상의 전압으로 공급한다면 설비 이중 투자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1 전기사용장소 1 공급전압 원칙 및 이를 위반할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1 전기사용장소 1 전기사용계약 체결, 1 인입 공급2. 2개 이상 전압공급 시 문제점 : 안전사고, 이중투자, 자원편중, 요금형평성 1 전기사용장소, 1 공급전압 한국전력에서는 전기를 공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 전기사용장소, 1 전기사용계약, 1 인입 공급 계약체결 기준을 명확히 규정하는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기공급설비에 대한 이중투자 방지국가 경제적으로 비용 절감고객 간 부담의 공평성 확보 .. 전기/실무 2024. 5. 3.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