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실무72 고압아파트 공동설비 별도 분리 못하는 이유 | 계약제도 특성 고압으로 전기를 공급받는 아파트는 한전과 단일 및 종합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아파트에서 헬스장, 수영장 등의 주민편의시설을 분리해 달라는 요구가 종종 발생합니다.공동설비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 분리가 불가하다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공동설비 정의 : 전기배선을 여러 세대가 함께 사용하는 설비 또는 시설2. 공동설비 기준 : 입주민들의 주거나 편의를 위한 설비 여부3. 단일 및 종합계약아파트 모두 공동설비 분리 허용되지 않음 1. 고압아파트의 공동설비 #공동설비 정의아파트의 공동설비란 전기배선을 세대별로 분리하지 않고 여러 세대가 함께 사용하는 설비나 시설을 말합니다. #공동설비 종류대표적인 공동설비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엘리베이터관리사무소 및 경비실복도등, 계단등.. 전기/실무 2024. 10. 15. 전력계통과 주파수의 관계 | 발전기 및 부하의 주파수 특성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로는 전압 및 주파수가 있습니다.전압은 일정범위 내에 국한되지만 주파수는 전국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전력계통과 주파수의 관계를 살펴보고, 발전기 및 부하의 주파수 특성도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전력계통 안정운전 조건 : 전력수급 균형 유지2. 계통 주파수 증가 시 대책 : 발전력 감소 및 부하증가3. 계통 주파수 감소 시 대책 : 발전력 증가 및 부하차단 1. 전력수급과 주파수의 관계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수급 균형 유지 발전기 고장 및 부하 탈락 등으로 전력수급 균형이 깨진다면, 계통 주파수는 변동합니다.주파수 변동으로 인한 현상과 수급균형을 맞추기 위한 대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상 및 대책.. 전기/실무 2024. 10. 7. 송전선로용 현수애자의 종류 및 섬락 특성 | 크레비스 및 볼소켓형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철탑을 통해 변전소로 이동합니다.송전철탑은 가공지선, 애자, 댐퍼, 추락방지장치 등 여러 장치들이 부착되어 있습니다.이 중에서 송전선로용 현수애자의 종류 및 섬락 특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현수애자 : 전압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 연결2. 현수애자 종류 : 크레비스형과 볼소켓형3. 애자 표면 누설저항 크기 : 연면거리에 의해 정해짐 1. 현수애자 현수애자(Suspension Insulator)는 원판형의 절연체 상하에 연결금구를 시멘트로 부착시켜 만든 것으로 전압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 연결하여 사용합니다.전압별 현수애자 개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54kV 송전선로 : 9~11개345kV 송전선로 : 20~22개765kV 송전선로 : 40개 이상 .. 전기/실무 2024. 9. 29. 배전선로 보호설비 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의 동작조건 및 시퀀스 배전선로용 보호설비에는 리클로저(R/C), 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 선로용 퓨즈 등이 있습니다.S/E(Sectionalize)는 부하분기점에 설치되어 타보호기기와 협조, 고장구간을 신속하게 개방합니다.자동선로구분 개폐기(S/E, 섹셔널라이저)의 동작 조건 및 동작시퀀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R/E 동작조건 S/E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후비에 R/C(자동 재폐로 차단기, Recloser)가 있어야 합니다.만약 R/C가 없을 경우에는 변전소의 D/L 보호계전기와 협조를 보게 됩니다.이때 D/L 보호계전기의 재폐로 횟수는 최소 1회 이상이어야 합니다. S/E(섹셔널라이저)의 동작 횟수가 3회로 정정되어 있다면, 처음 두 번의 고장은 계수(Count)만 하고 3번째 고장에서만 1번 개방 .. 전기/실무 2024. 9. 23. 변전소 차단기 조작방식별 비교 | 솔레노이드, 압축공기, 유압 및 전동스프링 변전소에 설치된 설비로는 변압기, 차단기, 단로기, 병렬리액터, 피뢰기 등이 있습니다.여기서 차단기는 부하전류를 개폐하고 고장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변전소에 설치된 차단기의 조작방식별 장점 및 단점 등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Solenoid(솔레노이드) 조작방식 : 차단 - 스프링, 투입 - 솔레노이드2. 압축공기 조작방식 : 차단 - 공기, 투입 - 스프링3. 유압 조작방식 : 차단 - 유압, 투입 - 유압4. 전동스프링 조작방식 : 차단 - 스프링, 투입 - 스프링 1. 솔레노이드(Solenoid) 조작방식 #조작방식차단 : 스프링투입 : Solenoid #장점① 구조가 간단하다.② 소음이 작다. #단점① 조작전류가 크다.② 큰 조작력이 필요한 경우 사.. 전기/실무 2024. 9. 21. 전기간선시설의 의미와 설치공사비 부담 주체 한국전력의 전기공급 설비 중에 전기간선시설이라는 용어를 들어 본 일이 있을 겁니다.또한, 전기간선시설은 전기시설 또는 간선시설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됩니다.전기간선시설의 의미와 설비공사비 부담 주체 결정에 관한 원칙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전기간선시설 : 주택단지 밖의 기존시설로부터 단지경계까지의 일반공급설비2. 설치공사비 부담 주체 : 적용법령에 따라 결정3. 간선설치 공중일 경우 한전부담, 지중일 경우 한전 및 사업주체 50:50 1. 전기간선시설의 의미 전기간선시설이라는 용어가 다소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버스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버스노선은 간선과 지선으로 구분됩니다. 지선버스 : 좁은 길의 정류장 정차간선버스 : 지역과 지역을 잇는 큰길 운행 전기간선도 개발지역에 개별고객이 들어오.. 전기/실무 2024. 9. 2. 가공 송전선로의 항공기 충돌방지 장치 | 항공장애등 및 항공장애 표시도장 높은 산 또는 바다, 고속도로 인근에 수많은 송전철탑이 설치되어 있습니다.100미터에 가까운 철탑 인근에 항공기가 인접할 경우 충돌 위험성이 존재합니다.한국전력에서 운용하는 가공 송전선로의 항공기 충돌방지 장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항공장애등 : 송전철탑 충돌방지, 야간용2. 항공장애표시구 : 송전철탑 충돌방지, 주간용3. 항공장애 표시도장 : 상부에서부터 황적색, 백색을 5등분까지 도장 송전선로 항공기 충돌방지 장치 한국전력에서는 154kV, 345kV 및 765kV의 가공 송전선로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송전선로는 철탑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철탑은 산 및 강 인근에 설치되어 있습니다.송전전압에 따른 각 철탑의 평균 높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54kV 송전철탑 : 33.3m.. 전기/실무 2024. 8. 23. 배전선로의 구간협조 장치 개요 및 동작시퀀스 | 리클로저 활용 배전선로 고장에 대비하기 위한 보호설비로는 리클로저, 선로용 퓨즈 등이 있습니다.특히, 리클로저(R/C)의 동작시간을 변경시켜 활용하는 구간협조 장치도 있습니다.배전선로 정전 방지 설비로써 구간협조 장치의 개요 및 동작시퀀스를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리클로저(R/C, Recloser) 2대 이상일 때 활용2. 후비 R/C의 순시동작시간을 길게 변경3. R/C의 순시동작 시간을 지연(6 cycle)시켜 협조 1. 구간협조 장치 개요 #개요구간협조 장치는 선로에 부설된 R/C(리클로저)가 2대 이상일 때 사용가능합니다.후비 R/C의 순시동작시간을 길게 변경해 주어 건전구간의 불필요한 정전을 방지해 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사용 방법① 고장 시 후비 R/C의 순시곡선을 동작시간이 긴 다른 .. 전기/실무 2024. 8. 20. 리클로저(R/C) 순시와 지연의 장점 및 단점 | 선로용 Fuse와 협조 배전선로 보호설비에는 리클로저(R/C), 컷아웃스위치(COS), Line Fuse 등이 있습니다.리클로저는 단시간내에 일시적인 고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리클로저를 순시와 지연으로 사용하는 이유와 장점 및 단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리클로저(R/C) : 보호계전기와 차단기의 기능 보유2. 순시와 지연의 장점 : 선로용 Fuse와 협조3. 순시와 지연의 단점 : 돌입전류에 취약(순시) 1. R/C의 순시와 지연 리클로저(Recloser, R/C)는 보호계전기와 차단기의 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보호설비입니다.주요 기능으로는 사고검출 및 자동차단, 재폐로 동작이 있습니다. 1-1. 순시와 지연R/C는 상, 지락고장 각각에 대해 2가지의 T-C 특성을 순차적으로 사용.. 전기/실무 2024. 8. 7. 잠정공급설비 적용대상 및 비용 부담주체 | 불가피한 경우는 한전 부담 한국전력에서는 불가피한 사유 또는 고객의 사정으로 인해 잠정공급설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잠정공급설비는 일정기간 사용하는 설비로 사유에 따라 비용 부담 주체가 결정됩니다.잠정공급설비로 공급 시 비용 부담주체 및 적용대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잠정공급설비 : 일정기간 전기공급 위해 설치하는 공급설비2. 고객 부담 : 고객 사정으로 긴급하게 전기공급 요청3. 한전 부담 : 고객 희망과 무관, 불가피한 사유인 경우 1. 잠정공급설비 #정의 및 적용대상잠정공급설비는 다음의 경우에 공급하는 설비입니다. 정상적인 공급설비로 공급이 어려운 경우고객의 긴급한 요청이 있을 경우 조건에 해당된다면,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합니다.잠정공급설비의 적용대상은 4가지입니다.. 전기/실무 2024. 7. 29. 변전설비 접지 목적 및 GIS 외함접지 방법 | 주모선은 다점접지 한국전력에서 운영하는 전력설비, 특히 변전설비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접지를 시행 합니다.설비운영에서의 접지는 기기 및 인체 보호, 계통 안정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변전설비에서의 접지 목적 및 GIS 설비에서의 외함접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접지 목적 : 기기 및 인체 보호, 계통 안정유지2. 외함접지 ① : GIS 주모선 외함은 다점접지3. 외함접지 ② : 3상 분리형, 상간 단락바(Bar) 설치 1. 변전설비 접지 목적 변전설비에서 접지를 시행하는 목적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인체 보호지락 및 뇌격전류의 침입에 따른 기기(변압기, 차단기, GIS, CT, PT 등)의 외함, 철구 및 대지의 전위상승으로 인한 인체 보호 #기기 보호계통이상전압 발생 억제 및 이상전.. 전기/실무 2024. 7. 26. 가공 송전선로 전압별 기준 용량 및 산출계산 | 154kV 선로는 82만kW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가공 및 지중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이동합니다.송전선로는 전압별로 기준용량이 존재하며, 용량한도 내에서 안정적인 전력 수송이 가능합니다.가공 송전선로의 전압별 용량 및 산출 기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765kV ACSR480㎟ × 4B : 1,312만 kW2. 345kV ACSR480㎟ × 4B : 391만 kW3. 154kV ACSR410㎟ × 2B : 82만 kW 1. 전압별 비교 송전선로 전압별 비교를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2회선역률 90%연속허용전류 #가공 송전선로 전압별 비교구분765kV(6B)345kV(4B)154kV(2B)송전용량1,312만kW391만kW82만kW동일송전 전력손실1.2MW/km9.0MW/km101MW/km용량.. 전기/실무 2024. 7. 19.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