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32 2024년 5월 국내 전력판매 현황 | 전년 대비 0.6% 감소 2024년 5월 기준 국내 전력판매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수출 실적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지만, 철강 등의 판매량이 감소하였습니다.전력판매 현황과 산업용, 일반용, 주택용 등의 계약종별 판매량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전력판매량 : 41,200 GWh, 전년 대비 0.6% 감소2. 판매수입 : 62,095억 원, 전년 대비 8.0% 증가3. 주택용(0.5%) 및 일반용(1.3%) 증가, 산업용(-1.0%) 감소 1. 국내 전력판매 현황 2024년 5월 전력판매는 지난해 동월 대비 0.6% 감소하였습니다.수출 실적이 호조를 보였지만 산업용 분야의 판매량이 소폭(-1.0%) 감소하였습니다.대표적으로 철강은 -13.7%, 석유정제 분야는 -1.1%를 기록하였습니다. #전력판매.. 전기/뉴스 2024. 9. 5. 전기간선시설의 의미와 설치공사비 부담 주체 한국전력의 전기공급 설비 중에 전기간선시설이라는 용어를 들어 본 일이 있을 겁니다.또한, 전기간선시설은 전기시설 또는 간선시설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됩니다.전기간선시설의 의미와 설비공사비 부담 주체 결정에 관한 원칙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전기간선시설 : 주택단지 밖의 기존시설로부터 단지경계까지의 일반공급설비2. 설치공사비 부담 주체 : 적용법령에 따라 결정3. 간선설치 공중일 경우 한전부담, 지중일 경우 한전 및 사업주체 50:50 1. 전기간선시설의 의미 전기간선시설이라는 용어가 다소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버스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버스노선은 간선과 지선으로 구분됩니다. 지선버스 : 좁은 길의 정류장 정차간선버스 : 지역과 지역을 잇는 큰길 운행 전기간선도 개발지역에 개별고객이 들어오.. 전기/실무 2024. 9. 2. 발송배전 및 건축전기 기술사 문제 | 가변교류송전시스템(FACTS) 전기전공자가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으로는 발송배전 및 건축전기기술사 등이 있습니다.여러 기술사 문제 중에서 가변교류송전시스템(FACTS)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93회 3교시 3번 기출문제로 FACTS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ACTS의 개념 및 필요성 #문제전력계통에서 적용하는 가변교류송전시스템(FACTS)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풀이 1. 개념 전력계통의 운용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용 반도체 소자 기술과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 및 고속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이용, 송전계통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운용의 유연성을 도모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가변교류송전시스템)입니다. 즉, FACTS란 대전력용 반도.. 전기/자격증 2024. 8. 27. 가공 송전선로의 항공기 충돌방지 장치 | 항공장애등 및 항공장애 표시도장 높은 산 또는 바다, 고속도로 인근에 수많은 송전철탑이 설치되어 있습니다.100미터에 가까운 철탑 인근에 항공기가 인접할 경우 충돌 위험성이 존재합니다.한국전력에서 운용하는 가공 송전선로의 항공기 충돌방지 장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항공장애등 : 송전철탑 충돌방지, 야간용2. 항공장애표시구 : 송전철탑 충돌방지, 주간용3. 항공장애 표시도장 : 상부에서부터 황적색, 백색을 5등분까지 도장 송전선로 항공기 충돌방지 장치 한국전력에서는 154kV, 345kV 및 765kV의 가공 송전선로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송전선로는 철탑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철탑은 산 및 강 인근에 설치되어 있습니다.송전전압에 따른 각 철탑의 평균 높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54kV 송전철탑 : 33.3m.. 전기/실무 2024. 8. 23. 배전선로의 구간협조 장치 개요 및 동작시퀀스 | 리클로저 활용 배전선로 고장에 대비하기 위한 보호설비로는 리클로저, 선로용 퓨즈 등이 있습니다.특히, 리클로저(R/C)의 동작시간을 변경시켜 활용하는 구간협조 장치도 있습니다.배전선로 정전 방지 설비로써 구간협조 장치의 개요 및 동작시퀀스를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리클로저(R/C, Recloser) 2대 이상일 때 활용2. 후비 R/C의 순시동작시간을 길게 변경3. R/C의 순시동작 시간을 지연(6 cycle)시켜 협조 1. 구간협조 장치 개요 #개요구간협조 장치는 선로에 부설된 R/C(리클로저)가 2대 이상일 때 사용가능합니다.후비 R/C의 순시동작시간을 길게 변경해 주어 건전구간의 불필요한 정전을 방지해 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사용 방법① 고장 시 후비 R/C의 순시곡선을 동작시간이 긴 다른 .. 전기/실무 2024. 8. 20. 발송배전 및 건축전기 기술사 문제 | CT 2차측 개방시 현상 전기 관련 자격증 중에 취득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 발송배전 및 건축전기 기술사입니다.기술사 문제 중에서 CT의 2차 측 개방 시 현상입니다.이 현상을 등가회로와 벡터도를 활용하여 설명하겠습니다. CT 2차 측 개방 시 현상 CT 2차 측 개방 시 현상을 등가회로 및 벡터도를 활용하여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변류기의 동작원리 ① 구성 : 1차 권선, 2차 권선② 1차 전류를 매개로 하여 이것에 비례하는 2차 전류(5, 1 [A])로 변성③ 1차 전류와 2차 전류의 비 권수비 : $a= \frac{n_{1}}{n_{2}}= \frac{V_{1}}{V_{2}}= \frac{I_{1}}{I_{2}}$, 권선비 a에 반비례 2. CT 2차 개방 시 현상 ① CT 등가회로$I_{1}, I_{2}.. 전기/자격증 2024. 8. 13. 리클로저(R/C) 순시와 지연의 장점 및 단점 | 선로용 Fuse와 협조 배전선로 보호설비에는 리클로저(R/C), 컷아웃스위치(COS), Line Fuse 등이 있습니다.리클로저는 단시간내에 일시적인 고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리클로저를 순시와 지연으로 사용하는 이유와 장점 및 단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리클로저(R/C) : 보호계전기와 차단기의 기능 보유2. 순시와 지연의 장점 : 선로용 Fuse와 협조3. 순시와 지연의 단점 : 돌입전류에 취약(순시) 1. R/C의 순시와 지연 리클로저(Recloser, R/C)는 보호계전기와 차단기의 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보호설비입니다.주요 기능으로는 사고검출 및 자동차단, 재폐로 동작이 있습니다. 1-1. 순시와 지연R/C는 상, 지락고장 각각에 대해 2가지의 T-C 특성을 순차적으로 사용.. 전기/실무 2024. 8. 7. 잠정공급설비 적용대상 및 비용 부담주체 | 불가피한 경우는 한전 부담 한국전력에서는 불가피한 사유 또는 고객의 사정으로 인해 잠정공급설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잠정공급설비는 일정기간 사용하는 설비로 사유에 따라 비용 부담 주체가 결정됩니다.잠정공급설비로 공급 시 비용 부담주체 및 적용대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잠정공급설비 : 일정기간 전기공급 위해 설치하는 공급설비2. 고객 부담 : 고객 사정으로 긴급하게 전기공급 요청3. 한전 부담 : 고객 희망과 무관, 불가피한 사유인 경우 1. 잠정공급설비 #정의 및 적용대상잠정공급설비는 다음의 경우에 공급하는 설비입니다. 정상적인 공급설비로 공급이 어려운 경우고객의 긴급한 요청이 있을 경우 조건에 해당된다면,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합니다.잠정공급설비의 적용대상은 4가지입니다.. 전기/실무 2024. 7. 29. 변전설비 접지 목적 및 GIS 외함접지 방법 | 주모선은 다점접지 한국전력에서 운영하는 전력설비, 특히 변전설비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접지를 시행 합니다.설비운영에서의 접지는 기기 및 인체 보호, 계통 안정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변전설비에서의 접지 목적 및 GIS 설비에서의 외함접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접지 목적 : 기기 및 인체 보호, 계통 안정유지2. 외함접지 ① : GIS 주모선 외함은 다점접지3. 외함접지 ② : 3상 분리형, 상간 단락바(Bar) 설치 1. 변전설비 접지 목적 변전설비에서 접지를 시행하는 목적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인체 보호지락 및 뇌격전류의 침입에 따른 기기(변압기, 차단기, GIS, CT, PT 등)의 외함, 철구 및 대지의 전위상승으로 인한 인체 보호 #기기 보호계통이상전압 발생 억제 및 이상전.. 전기/실무 2024. 7. 26. 연료전지의 원리 및 종류 | 전해질에 따라 구분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여러 기술 중에 연료전지가 있습니다.연료전지는 연료와 산화제를 화학반응시켜 에너지를 얻는 기술입니다.연료전지의 원리 및 전해질에 따라 구분되는 종류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연료전지 : 연료(수소)와 산화제(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2. 기본구성 : 연료극, 전해질층, 공기극으로 접합되어 있는 셀(cell)3. 연료전지 종류 : 알칼리, 인산형, 용융탄산염형 등 6종 1. 연료전지의 정의 연료전지는 연료(주로 수소)와 산화제(주로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킵니다.발생되는 반응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2. 연료전지의 원리 및 종류 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소와 산소가 발생합니다.연료전지는 전기분해와 반대로 수소와 산소로.. 전기/이론 2024. 7. 22. 가공 송전선로 전압별 기준 용량 및 산출계산 | 154kV 선로는 82만kW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가공 및 지중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이동합니다.송전선로는 전압별로 기준용량이 존재하며, 용량한도 내에서 안정적인 전력 수송이 가능합니다.가공 송전선로의 전압별 용량 및 산출 기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765kV ACSR480㎟ × 4B : 1,312만 kW2. 345kV ACSR480㎟ × 4B : 391만 kW3. 154kV ACSR410㎟ × 2B : 82만 kW 1. 전압별 비교 송전선로 전압별 비교를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2회선역률 90%연속허용전류 #가공 송전선로 전압별 비교구분765kV(6B)345kV(4B)154kV(2B)송전용량1,312만kW391만kW82만kW동일송전 전력손실1.2MW/km9.0MW/km101MW/km용량.. 전기/실무 2024. 7. 19. 2024년 3분기 전기요금 동결 | 주택용 고압 300kWh, 41230원 고물가가 장기화된 상황에서 정부는 2024년 3분기 전기요금을 동결하였습니다.일반 가정 및 소상공인은 반가운 뉴스이지만, 한전은 적자를 벗어나기 힘들어 보입니다.여름철을 포함한 주택용 전기요금표와 전력사용량에 따른 요금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1. 2024년 3분기 전기요금 동결2. 주택용 저압 300kWh 사용 : 46,530원3. 주택용 고압 300kWh 사용 : 41,230원 3분기 전기요금 동결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협의를 거쳐 3분기 전기요금이 동결되었습니다.지난해 3분기 이후 5분기 연속으로 요금이 동결된 상태입니다.이로 인해 심각한 재무위기를 겪고 있는 한국전력의 상황은 개선될 여지가 없어 보입니다.한국전력의 부채 및 누적적자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전기/뉴스 2024. 7. 15.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